우선 2023년도 구창모 볼게
23년도 보여주는 이유가 ㄴ너거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기 위해서다
2023년도 구창모가 뛰엇던 경기다
V1, V2 , V3 오버롤 집계방식은
V1 4월~ 7월
V2 7월~10월
V3 4월~10월
느낌오냐?
7월달이 겹친다 즉 7월달에 얼만큼 뛰었는지 여부에 따라 능력치 차이가 심해진다는 말씀
위로 올려서 V1 , V2 능치차이비교해봐라
V1은 4월~7월 9경기 뛰었다 ( 7월달 경기X) ㅇ오버롤 67
V2은 7월~10월 단 2경기 뛰었다 (9월달에만 2경기) ㅇ오버롤 57
V3 4월 ~10월 종합 11경기 뛰엇다 오버롤 63
이제 논란의 중심 2020구창모를 보겠다
이놈은 V3 오버롤일텐데 왜케 높을까?
경기기록을 상세히보자
2020 V1 4월~ 7월 13경기 뛰었다 (7월 4경기 ) ㅇ오버롤 73 (예상치)
2020 V2 7월~10월 6경기 뛰었다 (7월 4경기, 10월 2경기) 오버롤 64 (예상치)
7월에만 4경기를 뛰었다
2020 V3 4월~10월 15경기 뛰엇다 ㅇ오버롤 68
즉 겹치는 달인 7월에 경기수가 있었기 때문에 오버롤 차이가 나는거다.
쉽게말해서 2020 4~7월 졸잘했어
윕이 설명해주잖아??
7월달~10월달볼게
10월달도 졸잘했어 10-24 1.1이닝이긴한데
너희들이 계산을해봐
V1 오버롤은 높을 것이고 ㅇ오버롤 73예상
V2 오버롤은 1보다 많이 낮을것이고 ㅇ오버롤 64예상
V3 오버롤 68이 이래도 불합리화라고 생각이 들어?
만약 2020 구창모도 7월달 4경기 안뛰었으면 V2 오버롤 10은 더 낮아졌겠지
7월달 뛰고 안뛰고가 V3 능력치 반영 핵심이다
7월달 못뛰엇으면 예상 오버롤 60~65되지않았을까?